CSS 규칙과 선언 방법
CSS는 구조적으로 짜여진 문서(HTML, XML)에 스타일(글자, 여백, 레이아웃 등)을 적용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기술입니다. CSS는 문서의 구조와 디자인을 분리할 수 있게 해 줌으로써 웹 제작이나 유지관리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게 해 줍니다. 또한 스타일을 미디어(화면, 프린트, 보이스머신 등) 별로 적용 할 수 있게 하기 때문에 다양한 기기별로 서로 다른 스타일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(CSS2 표준에서 발췌).
- Cascading style sheets의 약자이며 우선순위가 있는 스타일 시트를 말한다.
- 마크업 언어가 실제 화면에 표시되는 방법(레이아웃과 스타일을 정의)을 기술하는 언어이다.
- W3C에서 표준안을 만들어 내고 있으며 1996년 CSS Level 1 이후, 현재 CSS Level 2.1에서 CSS Level 3까지 보급되고 있다.
CSS 젠 가든(css zen garden) : http://www.csszengarden.com/
1. CSS 기본 규칙
- 선택자(selector) : 스타일을 적용하는 대상을 말하며, html 태그, class명, id명등이 이에 해당한다. 또한 이들을 조합하여 선택자의 적용대상 범위를 좀 더 세밀하게 설정할 수 있다.
- 속성(property) : 선택자에 어떤 스타일을 부여할 것인지를 지정하며, 속성별로 지정할 수 있는 값(value)들이 존재한다.
- css의 주석은
/*
와*/
로 둘러싼다. - 세미콜론
;
으로 구분지어 여러 속성을 하나의 선택자에 사용할 수 있다. - 콤마
,
로 복수의 선택자를 사용할 수 있다.
2. CSS 선언 방법
2.1 외부 CSS(external css)
외부에 별도의 CSS가 정의된 파일을 불러오는 방식입니다.
여러 파일이 하나의 CSS 파일을 공유할 수 있어서 일관성이 있으며, 반복되는 작업을 줄일 수 있습니다.
2.1.1 link
요소로 외부 CSS 불러오기
<head>
<link rel="stylesheet" type="text/css" href="/css/style.css">
</head>
2.1.2 @import
로 외부 CSS 불러오기
<head>
<style type="text/css">
@import url("/css/style.css");
</style>
</head>
2.2 문서안에 포함된 CSS(embeded css)
head
요소 안에서 style
요소를 사용하여 문서 내에서 CSS를 정의 할 수 있습니다.head
요소에 넣는 것이 정석이지만, 상황에 따라 body
요소 안에도 선언이 가능합니다.
<head>
<style type="text/css">
body {
margin: 0;
padding: 0;
}
</style>
</head>
2.3 요소에 직접 선언(inline css)
요소에 직접 스타일 속성값을 지정하는 방식입니다.
<div style="padding: 10px; border: 1px solid #eee;">
<p>내용</p>
</div>
CSS를 읽어 들이는 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.
- 2.1.1
link
요소로 외부 CSS 불러오기 - 2.1.2
@import
로 외부 CSS 불러오기 - 2.2 문서안에 포함된 CSS(embeded css)
- 2.3 요소에 직접 선언(inline css)
외부 CSS를 참조하는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문서 구조와 표현 분리가 철저히 지켜지는 것을 권장.